“이건희 동생인가..?” 사원으로 입사했는데.. 이재용보다 돈 더 많이 받았다는 회장님 연봉 수준

오너 일가가 아닌 일반 사원 출신이 회장을 맡았다고 하면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정말 능력이 있는 사람인가 보다 아니면 재벌과 어떤 끈이 있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을 텐데요.

능력만으로 평범한 사원 그것도 연구원으로 입사해 삼성전자의 성장을 이끌며 회장의 자리까지 앉아 삼성전자의 ‘진짜 회장’이라고 불리는 기업가가 있습니다.

바로 권오현 삼성전자 회장이죠.

이건희 회장과 함께 삼성전자 회장직에 이름을 올린 권오현 회장은 1952년 생으로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 후 카이스트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어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스탠퍼드 대학교 공과 대학원에서 전기공학 박사학위까지 받은 엘리트인데요.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한국 전자 통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그는 1985년 미국 삼성 반도체 연구소에 연구원으로 입사하며 푸른 피의 삼성맨이 됩니다.

입사 직후부터 4메가 D램을 개발해 삼성그룹 기술대상을 수상하며 초고속 승진을 하게 되는데요.

2004년 입사 19년 만에 시스템 LSI사업부의 사장을 맡게 되며 적극적인 선제 투자를 앞세워 D램과 랜드플세시 등 메모리 사장 점유율 1위를 수성하게 되죠.

뛰어난 실적을 앞세워 2012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의 자리까지 오르게 되는데요. 이후 2013년에는 매출액 228조 원, 영업이익 37조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찍게 됩니다.

최고의 자리에서 최고의 능력을 보여주던 권 회장은 2017년 돌연 모든 직책을 내려놓고 사퇴를 결정하죠. 급격하게 변화는 IT 산업에 맞춰 후배 경영진들이 경영을 쇄신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 것인데요.

하지만 그의 능력을 높이사는 회사 측에서는 같은 해 11월 후진 양성과 경영 자문을 위해 권 회장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회장 자리를 내어줍니다.

이어 권 회장은 2018년 3월 삼성전자 회장으로 취임하며 드라마 같은 스토리의 주인공이 되죠.

평범한 연구원에서 업계 최고인 삼성전자의 회장직까지 오른 데는 그가 반도체 시장 내에서 신화적 존재이기 때문이라는 게 대부분의 의견인데요.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반도체를 처음 선보일 때부터 세계 반도체의 선두주자가 되며 2017년 역대 최고 실적을 낼 때까지 그의 탄탄한 행보가 있었기 때문이죠.

또 이재용 부회장이 국정 농단 혐의로 구속 수감되었을 때 권오현 회장은 그룹의 대표 역할까지 맡아 빈자리를 메꿔주었습니다.

문 대통령의 미국 순방길에도 삼성그룹의 대표 자격으로 동행한 것은 물론 청와대에서의 ‘호프미팅’에도 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는데요.

이에 이재용 부회장이 복귀했음에도 2018년 4월 중국에서 열린 비즈니스 세미나에도 이 부회장이 아닌 권오현 대표가 초청받음 바 있죠.

실적으로 증명해낸 그의 능력만큼 회사 측도 걸맞은 대우를 해주며 화제가 되었는데요.

2015년부터 4년 연속 ‘샐러리맨 연봉킹’에 오른 그는 2018년 12개월치 급여 총 12억 4900만 원, 상여금 56억 6200만 원, 기타 근로 소득으로 1억 2300만 원을 받았습니다.

지난해에는 회사로부터 172억여 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퇴직금을 포함한 액수로 4700만 원의 일당을 받은 인물이 되죠.

급여 7억 9200만 원에 상여금으로 70억 3200만 원을 받은데 이어 퇴직금으로 92억 9000만 원을 받아 샐러리맨의 롤 모델이 되었습니다.

삼성은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인 경제침체 속에서도 지난해 반도체 부문 매출 103조 원, 영업이익 21조 원을 달성한 점과 메모리 사장에서 리더십 수성 등에 기여한 점을 고려했다며 산정 이유를 설명했죠.

이에 반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7년 2월부터 무보수 경영을 이어오며 별도의 급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전해져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권오현 회장은 경영 외에도 작가로서도 인정받고 있는데요. 그가 출간한 ‘초격차’는 베스트셀러가 되며 경영의 귀재가 전하는 전략을 대중들에게 전달하기도 했죠.

현재 삼성전자 상임고문으로서 자신의 경험을 후배들에게 전달하고 있는 그는 ‘반도체 기술’ 유지에 여전히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데요.

미국·중국 등 주요국들이 자체 반도체 공급 강화에 나서고 있는 요즘 삼성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 리더십을 계속 유지해야 한다며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의 책 ‘초격차’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경쟁사를 압도하는 투자와 기술 개발로 2위와 격차를 지속적으로 벌려 1위 자리를 공고하게 해야 한다는 것일 텐데요.

권 회장의 이런 마인드가 지금의 업계 최고 삼성을 만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Must Read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