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재벌 오너 중에 과감히 투자하고 도전하는 사람을 뽑으라면 단연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을 뽑을 수 있는데요.

과감히 이마트 본사와 수천억에 달하는 스타필드 부지를 매각하고 프로 야구단과 이베이 코리아에 승부수를 던지고 있는 있는 정용진 부회장.
그는 이마트 트레이더스와 스타벅스를 비롯해 수많은 사업을 성공시키면 현재의 신세계 그룹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정용진 부회장도 뼈아픈 실패를 수없이 해왔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많은 사업에 도전한 만큼 그만큼 실패한 사업도 많았는데요.
과거 정용진 부회장은 기존 경쟁자가 시장을 꽉 잡고 있는 소주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바로 제주 소주를 인수해 내놓은 푸른 밤이 그것인데요.

신세계 그룹은 지난 2016년 190억 원을 들여 제주 소주를 인수했습니다. 국내 주류업계에서 마르지 않는 샘물로 통하는 소주 시장에 진출해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자 했다고 합니다.
이런 정용진 부회장의 도전에 내부 반발이 만만치 않았는데요. 하이트진로의 참이슬이나 롯데주류의 처음처럼 등이 시장을 양분하고 있어 점유율을 뺏어오는 게 쉽지 않다고 전망했는데요.

사실 정용진 부회장이 소주 시장을 타깃으로 하게 된 것은 술에서만큼은 누구보다 잘 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정용진 부회장은 소주 6병을 넘게 마실 정도로 평소 술을 즐기는 편이며 이 외에 다양한 술을 좋아할 정도로 애호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자신이 좋아하는 만큼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 것인데요.

업계에서는 지금까지 스타벅스나 이마트에서 보여준 성공 사례가 있었고 또 이미 이마트라는 거대한 유통망을 갖추고 있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었는데요. 207년 기준 매출은 2억에서 48억으로 늘었지만 영업손실이 19억 원에서 141억 원으로 10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문제는 매출이 늘어도 손실은 더 크게 늘어난다는 점이었는데요.

이후 다른 계열사를 통해 꾸준히 자금 수혈을 하며 버텼지만, 적자 폭을 감당하지 못하고 결국 철수하고 맙니다.
소주사업을 해 오면서 들어간 자금만 인수자금을 합쳐 총 860억 원이었는데요. 그만큼 공을 들였지만 1000억 가까운 손실을 보며 참패한 것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일명 정용진 소주의 실패 이유에 대해 기존 경쟁자들의 점유율을 뺏어오지 못하 점을 가장 첫 번째로 뽑았습니다.
소주의 특성상 가정용 주류의 비중도 크지만 영업용 주류의 판매가 가장 중요다고 합니다. 신세계의 경우 이마트가 있어 가정용 판매망은 갖추고 있었으나 영업용은 거의 가지고 있지 못했습니다.
영업용 판매가 안되다 보니 기존 참이슬이나 처음처럼의 점유율을 뺏어오기 힘들어진 것인데요.

여기에 제주 소주를 인수해 제주도에서 생산한 소주라는 브랜드를 앞세웠지만 이미 제주도에 한라산이라는 대표 브랜드가 자리 잡고 있어 마케팅에도 실패했습니다.
게다가 제주도에서 생산하다 보니 내륙으로 옮기는 운송비도 만만치 않았다고 합니다.

평소 새로운 사업에 굉장히 도전을 많이 한 만큼 정용진 부회장이 실패한 것은 소주 사업뿐 만이 아닌데요.
그는 일본 돈키호테와 비슷한 삐에로 쇼핑이나 H & B 사업에서 분스와 부츠 등 모두 실패하기도 했으며 호텔 사업에 뛰어들어 론칭한 레스케이프 호텔 또한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현재 매년 매출 3조 원을 기록하면서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스타벅스를 비롯해 노브랜드와 국내 최대 오프라인 멀티플렉스로 손꼽히는 스타필드는 전용진 부회장의 최대 업적이기도 한데요.

이에 온라인 누리꾼들은 “대기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성공하는 건 아니구나, 유독 다른 대기업 오너에 비해 도전을 많이 한다, 실패한 만큼 성공한 사업도 많다, 앞으로 또 어떤 사업에 도전할지 기대된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