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올라서 한탕 크게 챙겼겠다” 그런 말 들으면 억울.. 남는거 없어서 폐업 뒷수습도 못하네요.

지난해부터 불거진 코로나19와 주유업계 경쟁력 심화로 주유소들이 사지로 몰리고 있는데요.

주유소 사장이면 ‘지역 유지’라는 말도 이제는 옛말이 된 셈이죠.

전국의 주유소 수는 2010년 1만 3004개로 사상 최고를 보인 이후 국내외 유가가 급등하기 시작한 2011년 2월 1만 2900여 곳으로 감소했는데요.

지난해 4월 1만 1400여 곳으로 감소 후 올 초 1만 1300여 개로 다시 줄어들었습니다.

주유소들이 폐업이 속출하며 최근 10년간 1600여 곳 이상이 문을 닫았는데요. 매년 100개 이상의 주유소가 문을 닫고 있죠.

정부가 1990년대 중반 주유소 간 거리 제한을 없앤 데다, 유가 공시 제도의 폐지로 유가를 주유소 자율에 맡기면서 주유소 간 경쟁에 불을 붙였기 때문인데요.

2011년 말 알뜰주유소가 도입되면서 일반 주유소들의 폐업이 가속화되었죠.

알뜰주유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정유사 기름을 구입하고 사은품 미제공, 셀프주유소화 해 고정 비용을 줄인 주유소로 일반 주유소보다 리터랑 50~100원가량 저렴한데요.

지난해 말 전국 알뜰주유소는 1241곳으로 집계되었죠.

게다가 작년부터 이어진 코로나19 대확산으로 차량 운행이 줄면서 전국 주유소는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영업난이 심화되자 주유소들은 인건비라도 줄일 요량으로 셀프 주유소로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여주었는데요.

업계 관계자는 “서울 등 대도시에서 살아남은 주유소나 새로 오픈하는 주유소는 셀프 주유소로 전환하고 있다”라며 “셀프 주유소로 전환할 여지가 없는 지방 소규모 주유소들은 가족 경영으로 버티고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이들은 친환경차 비중 확대로 주유소 경영난이 악화될 여지가 있다며 정부에서 주유소의 전·폐업과 사업 다각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죠.

주유소는 폐업하는 것도 쉽지 않은 업종 중 하나입니다.

주유소를 폐업하기 위해선 시설물 제거 비용과 토양 오염 정화 비용 등이 들기 때문에 약 1억 원에서 많게는 5억 원까지의 금액이 필요하죠.

경영난으로 폐업을 선택한 주유소에게 이런 큰 금액은 감당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A 주유소는 폐업 후 수년째 방치돼 있는데요.

주유소 지붕은 물론 지하저장탱크 등이 고스란히 흉물로 남아 있어 주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죠.

이처럼 폐업을 하고 방치된 주유소의 소유주는 소재 파악조차 쉽지 않은데요.

최근 3년간 폐업한 주유소 1070여 곳 중 50개 주유소가 이처럼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되어 있습니다.

일부 방치된 주유소에 노숙자들이 머물며 모닥불을 지피는 등 위험에 노출되어 있죠.

경영난으로 버티기 어려운 주유소 중 일부는 폐업 대신 휴업을 택하기도 하는데요. 지난해 휴업을 신고한 주유소는 510여 곳으로 폐업한 주유소보다 3배나 많다고 하죠.

이처럼 경영난이 심화되자 주유소들은 생존을 위해 다양한 변신을 꾀하고 있는데요.

전기차·수소차 충전소 설치 등 복합에너지 스테이션으로의 전환 시도는 물론 주유소 내 패스트푸드점 설치, 세차 서비스, 물류 거점 사업 도입 등이 대표적입니다.

단순한 주유·세차·정비 공간이 아니라 복합 생활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인데요.

실제 서울 영등포구 SK에너지 양평주유소도 패스트푸드점과 패션 아울렛 등을 결합한 복합 주유소로 변신해 주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이 외에도 정유사들은 주유소들이 전국 주요 거점에 부지를 보유한 이점을 이용해 택배나 보관함 등 물류 기지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죠.

변화를 꾀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주유소 업계의 어려움을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데요.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정부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으로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 전기차·수소차 등이 늘어 앞으로 20년 후 휘발유·경유를 파는 주유소가 지금보다 8000개 이상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방치된 주유소를 본 네티즌들은 “주유소는 언제든지 폭발 위험이 있는데 저렇게 둬도 되는지 모르겠다” “저런 거는 정부에서 지원을 해줘야 하지 않을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는데요.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만큼 주유소의 변화의 몸부림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Must Read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