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 딸리는 거 아닌데 아깝네..” 기껏 입사했더니 폐수처리장 발령 받았다는 삼성 신입사원 외모 수준

취업준비생들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꿈의 직장은 아마도 ‘삼성전자’가 아닐까 싶은데요. 막강한 네임밸류에 든든한 연봉, 뛰어난 복지 혜택까지 삼성전자 입사를 열망하는 취준생들이 많죠.

그런데 삼성전자에 합격하고도 황당한 근무지 발령에 고민에 빠졌었다는 삼성전자 직원이 있어 화제가 되었습니다.

입사 4년 차인 김연수 씨는 입사 당시 첫 근무지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폐수처리장을 배정받았죠.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했고 삼성전자 반도체에 지원하여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최종 합격이라는 꿈을 이룬 그녀에게 첫 근무지는 황당하기 그지없었는데요.

한 번도 해본 적 없는 폐수처리업무에 ‘더럽고 위험한 일 아니야?’라는 생각마저 들었지만 입사 후 마주한 일에 놀라움을 자아낼 수밖에 없었다고 고백하였죠.

지난해 7월 삼성전자 반도체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는 ‘삼성전자 지하 비밀 통로의 상상도 못한 정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영상에는 무려 2.6km에 달하는 긴 통로와 정체를 알 수 없는 장비가 가득한 작업지가 공개되었는데요.

김연수 씨는 이곳 폐수처리장에서 반도체 공정의 최후단인 방대한 양의 폐수를 깨끗하게 정화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죠.

연수 씨는 매일 공장에서 사용하고 나오는 폐수를 처리하는 일을 하는데요. 그 양이 무려 하루에만 7만 톤이 된다고 해 놀라움을 자아냈습니다.

첫 근무지로 폐수처리장을 배정받았을 당시 위험하고 더러운 일이 아니냐는 선입견은 근무 시작과 동시에 깨져버렸는데요.

수만 톤 이상의 더러운 물을 손으로 만져도 될 만큼 깨끗하게 정화해냈을 때 느끼는 보람은 상상을 초월한다고 전했죠.

게다가 얼마 전에는 폐수처리 작업장 인근 하천에 1급수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달이 돌아왔다는 감동스러운 소식도 날라왔다며 뿌듯한 마음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해당 영상엔 김연수 씨가 축구장 4~5개에 맞먹는 시설을 관리하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는 모습이 나왔는데요.

또한 정화가 완료된 물에 자신의 손을 직접 담그는 모습이 나와 보는 이들을 놀라게 만들었죠.

연수 씨는 폐수처리 업무가 반도체 생산의 최후 공정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 뿌듯함을 느낀다고 전했는데요.

이를 접한 네티즌들 역시 ‘수달까지 찾아오는 폐수처리의 위엄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생산만큼 중요한 것이 깔끔한 뒤처리인데 폐수를 깨끗하게 돌려놓아 방류하는 것이 놀랍다’라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도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은 매우 중요한 재료인데요.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반도체를 생산하는 삼성전자 기흥·화성 사업장에서는 하루 평균 16만 톤을 사용한다고 하죠.

삼성전자는 반도체 라인에서 사용된 물을 사업장의 ‘그린센터’로 불리는 폐수처리장을 거쳐 밖으로 흘려보냅니다.

‘그린센터’는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된 물을 내부 기준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해 각 단계의 성질에 맞는 공법과 기술을 적용해 정화하는데요.

정화된 물의 수질은 각각의 성분 별로 법이 허용한 세부 기준치 대비 약 30% 이내 수준으로 철저하게 관리하죠.

이렇게 정화처리된 물은 주변 하천 수질보다 휠씬 깨끗한 수준이라니 정화에 얼마나 진심인지 알 수 있네요.

삼성전자가 주변 하천에 흘려보내는 정화수의 방류량은 하루 약 16만 톤으로 방류된 물은 주변 하천의 유지용수와 자정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린센터는 사업장 바닥에 떨어진 빗물조차 그냥 흘려보내지 않는데요. 별도 하수처리 시설을 마련해 빗물을 비롯해 사업장 도로 등에 떨어진 물까지 모아서 정화시키죠.

또 정화시킨 물 중 일부는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초순수(순순한 물 외에 무기질이나 미네랄 등 이온 성분이 없는 1등급의 물)로 만들어 다시 사용합니다.

삼성전자는 폐수처리를 하는 과정에서도 환경을 생각하는데요. ‘전기 분해’나 ‘미생물 분해’ 등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공법’을 개발해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죠.

삼성전자의 TV·가전·휴대폰 등을 개발, 생산하는 수원·구미·광주 사업장에서도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폐수처리시설을 각각 운영하는데요.

수원사업장의 경우 지하 1~2층에 폐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하루 약 2000톤의 물을 전화시켜 방류합니다.

법 기준 대비 30% 이내로 수질을 관리하는 것은 물론, 한국환경공단·안전환경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간 수질을 점검하고 있죠.

폐수처리에 진심인 삼성전자를 보면서 첫 근무지로 발령받은 폐수처리장에서 큰 보람을 느낀다는 연수 씨의 말이 이해가 될 정도인데요.

자연으로 돌아갈 물, 단 한 방울까지 생각하는 자세가 바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지 않았을까요.

Must Read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