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큼이나 나와? 부럽다” 완전 악마의 계약.. 가져가라고 할때 다 내꺼 같았는데.. 현재 월급 다 토해내고 있습니다.

‘벼락거지’를 면해보겠다고 대출을 해 투자에 나섰던 서민들이 진짜 거지 신세를 면치 못하게 되었습니다.

금리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으면서 이자에 허덕이는 이들이 늘어났는데요. 3~4%대에 그쳤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불과 6개월여만에 7%를 돌파했죠.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과 긴축 가속화에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불안까지 겹치면서 채권 금리 또한 10년 만에 최고 수준에 도달해 주담대 금리를 계속 끌어올리는데요.

연말께에는 주담대 금리가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8%대까지 오를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주담대 뿐 아니라 신용대출의 금리 지표가 되는 은행채(AAA) 1년물 금리도 연일 최고점을 갈아치우며 10년 만에 최대치를 찍고 있죠.

높아지는 이자 부담에 ‘하우스 푸어’를 넘어 ‘이자 푸어’들까지 속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서울에 사는 맞벌이 직장인 A 씨는 지난해 전세로 살던 집에 집주인이 들어온다는 통보를 받고 고민 끝에 내 집 마련에 나서기로 결심하였죠.

자녀의 학교 문제로 근처에 있는 주택을 구해야 했던 A 씨는 15억 원이 넘는 아파트값이 고민에 빠졌는데요.

15억 원 이상 주택은 주택담보대출이 전면 금지되다 보니 퇴직금 담보대출 2억과 신용대출 3억으로 겨우 집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겨우겨우 예산을 맞출 수 있었던 탓에 취등록세는 카드 6개월 할부로 고비를 겨우 넘겼는데요. 그런데 뜻하지 않은 변수를 만나게 된 것이죠. 반년마다 바뀌는 신용대출 금리가 무섭게 오르기 시작하였는데요.

A 씨는 “빌릴 때는 2.8% 기준으로 월 117만 원이던 이자가 지금은 금리 3.8%에 158만 원으로 뛰어올랐다”라며 답답함을 호소하였습니다.

이자가 늘면서 생활비는 허덕이고 재산세 낼 돈마저 없자 새로 산 집을 담보 잡혀 생활안정자금 대출 1억 원을 신청하였는데요

이자 때문에 이제껏 겪어보지 못했던 가정불화마저 발생하고 있다며 ‘이자 푸어’로 전락한 신세에 대해 한탄을 늘어놓았죠.

최근 A 씨처럼 ‘영끌’에 나섰다가 금리 상승기에 ‘이자 푸어’가 된 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자 푸어는 급격히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짊어져야 하는 이들을 가리키는 말인데요.

비단 ‘하우스 푸어’들뿐 아니라 코인, 주식 등 투자 목적으로 금융권에 돈을 빌렸다가 못 갚는 경우도 포함되죠.

최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가계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는데요.

소득이 늘어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데,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은행에 내야 할 이자까지 불어나면서 서민들의 체감 이자 부담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거기에 최근 한국은행이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를 연 2.25%로 올리는 ‘빅스텝’에 나서면서 대출 이자 부담이 가계를 더 강하게 짓누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죠.

한은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계 대출은 모두 1752조 7000억 원에 달합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 금리가 0.25% 포인트 오르면 가계 연 이자 부담은 3조 4000억 원 증가하는데요.

금리가 0.5% 포인트 오르면 이자 증가분은 두 배인 6조 8000억 원으로 뛰죠.

지난해 8월 기준금리가 0.25% 포인트 인상된 이후 11월, 올해 1월, 4월, 5월 각각 같은 폭으로 인상된데 이어 이번에 0.5% 인상을 더하면 3조 4000억 원의 7배가 늘어나는 셈인데요.

약 10개월 동안 늘어난 이자만 23조 8000억 원이 넘는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이를 1인당 이자 부담 증가로 계산하면 10개월 동안 1인당 연 112만 7000원의 부담이 늘어난 것이죠.

빅스텝 이후 시장 금리 상승세가 강해지면 마이너스 통장·신용대출 금리 상승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난해 12월 5.12%였던 은행권 일반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이제 7%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금리 상승기가 길어질수록 최근 대출을 많이 늘린 청년층·자영업자 등 취약 차주들의 신용 위험은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또한 빚을 줄일 수 없는 계층들은 가처분소득이 감소해 소비가 줄어들고, 결국 불황을 부치기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들이 나오고 있죠.

고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 금리를 올리겠다는 한국은행의 시그널은 이해가 가지만 물가를 잡기 전에 국민부터 때려잡는 건 아닌지 심히 걱정이 되네요.

"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Must Read
Popular Posts